5·18단체가 소외계층?..자율접종 공정성 논란

등록일자 2021-08-05 20:06:00

【 앵커멘트 】
시장이나 도지사가 나이와 상관없이 직종상 필요하다고 판단해, 코로나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를 자체적으로 선정하는 게 자율접종인데요.

광주시도 2차 자율접종 대상자에 대한 백신 사전 예약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선정된 대상자들을 두고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광주시는 자율접종 백신으로 화이자ㆍ모더나 백신 8만 7,000여 명 분이 배정됐습니다.

지난달 22일 1차로 유흥업소 종사자 등 2만 2,000여 명이 선정됐습니다.

4일 예약이 시작된 2차 자율접종 대상은 4만 5,000명으로, 음식점과 숙박업소, 대형마트, 백화점 종사자, 체육 업종 관계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 인터뷰 : 이달주 / 광주시 복지건강국장
- "집단 발생 지역 방역 취약군과 대민 접촉 필수 인력, 접종 소외군 등 우선접종이 필요한 대상자 선정을 위해 관련 기관과 자치구, 시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2차 대상자를 선정했습니다."

그런데 2차 접종 대상자에 광주시가 제시한 기준과는 동떨어진 5·18단체 등 300명이 포함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선정 이유는 고려인이나 북한이탈주민에 해당하는 접종 소외계층이었습니다.

▶ 싱크 : 광주시 관계자
- "접종 소외계층이라고 감염병 관리과에서 파악해달라고 해서 해준 것인데, 우리가 해주려고 해 준 것이 아니고 그쪽에서 그렇게 왔다니까요? 그런 곳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집단 감염 우려가 큰 방문판매나 서비스업 등 대면 업무가 많은 직종은 대상에서 빠져있는 상황에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입니다.

▶ 싱크 : 김용욱/광주 풍암동
- "5·18 같은 경우에는 그런 것(위험군)과 연관이 없지 않나 생각이 들고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 활동하는 청년활동가 140여 명도 시청에서 자주 회의를 한다는 이유로 접종 대상에 포함되면서, 자율접종 대상자 선정을 둘러싼 논란을 키우고 있습니다.

kbc 박성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