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표율]오후 5시 기준 73.9%..전남 80.7%·제주 70.1%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후 5시 현재 투표율이 73.9%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저녁 8시 투표 종료까지 3시간가량 남은 가운데 지난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 77.1%를 넘길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이어진 사전투표와 이날 아침 6시부터 진행된 본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3,280만 1,369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오후 5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73.6%)과 비교해 0.3%p 높습니다. 현재 투표율이 가
    2025-06-03
  • [투표율]오후 3시 기준 68.7%..전남 77.8%·부산 65.8%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후 3시 현재 투표율이 68.7%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저녁 8시 투표 종료까지 다섯 시간이 남은 가운데 지난 제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 77.1%를 넘길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이어진 사전투표와 이날 아침 6시부터 진행된 본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3,050만 4,825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오후 3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64.8%)과 비교해 0.6%p 높습니다. 현재 투표율
    2025-06-03
  • [투표율]오후 2시 기준 65.5%..전남 76%·부산 62.1%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후 2시 현재 투표율이 65.5%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이어진 사전투표와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본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2,909만 7,471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오후 2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64.8%)과 비교해 0.7%p 높습니다. 현재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76%)이고, 이어 광주(74.0%), 전북(73.8%), 세종(70.0%) 등 순입니다. 가장 낮은 곳은
    2025-06-03
  • [투표율]대선 투표일 낮 12시 22.9%..투표자 1천만 명 넘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낮 12시 현재 투표율이 22.9%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6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1,017만 286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여기에는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 투표율은 잠시 뒤,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 때부터 합산됩니다. 12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
    2025-06-03
  • [투표율]대선 투표일 오전 10시 13.5%..대구 최고 17.0%·광주 최저 9.5%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전 10시 현재 투표율이 13.5%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4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600만 3,187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여기에는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 투표율은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 때부터 합산됩니다. 10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11.8
    2025-06-03
  • [투표율]대선 투표일 오전 9시 9.2%..대구 최고 11.5%·광주 최저 6.3%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오전 9시 현재 투표율이 9.2%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3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409만 3,625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여기에는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 투표율은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 때부터 합산됩니다. 9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8.1%)과
    2025-06-03
  • [투표율]대선 투표일 아침 8시 5.7%..대구 최고·광주 최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아침 8시 현재 투표율이 5.7%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2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253만 5,295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여기에는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 투표율은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 때부터 합산됩니다. 8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5.0%)과
    2025-06-03
  • [투표율]대선 투표일 아침 7시 2.4%..대구 최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선 본투표일인 3일 아침 7시 현재 투표율이 2.4%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새벽 6시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1시간 동안 전체 유권자 4,439만 1,871명 중 107만 9,256명이 투표를 마쳤습니다. 여기에는 지난달 29∼30일 실시된 사전투표 투표율(34.74%)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전투표를 포함해 재외투표·선상투표·거소투표 투표율은 오후 1시 공개되는 투표율 때부터 합산됩니다. 7시 투표율은 2022년 20대 대선의 동시간대 투표율(2.1%)과
    2025-06-03
  • 김 양식 '골치거리' 해결 청신호 ..김 활성처리제 개발
    【 앵커멘트 】 지난해 김 수출액이 10조 달러에 육박할 정도로 한국 김 인기가 높습니다. 이런 인기를 이어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김 양식 때 발생하는 균 재발을 억제하는 것인데요. 전라남도와 서울대가 3년 간의 연구 끝에 새로운 김 활성처리제 개발에 성공해 올해 말부터 공급에 들어갑니다. 강동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검은 반도체로 불리는 김을 양식을 할 때 어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균 재발 억제력'과 '요각류' 제거 등입니다. 기존의 김 활성처리제의 효과가 신통치 않다 보니 양식
    2025-06-02
  • 한국 올해 성장률 0.3% 전망도.. 한은 0.8%보다 낮아 '암울'
    글로벌 투자은행(IB)을 비롯한 국내외 주요 기관들의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습니다. 21곳이 올해 0%대 성장을 점치면서 4주 만에 평균 성장률 예상치가 0.9%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블룸버그 조사 결과 국내외 41개 기관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분포는 0.3∼2.2%, 평균 0.985%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같은 달 2일 기준 조사 당시 42개 기관의 평균 1.307%와 비교해 0.322% 포인트나 낮아졌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2025-06-02
  • 여수 소경도 해상서 어선 충돌..승선원 8명 부상
    여수 소경도 해상에서 낚시어선이 충돌해 선원 8명이 다쳤습니다. 어제(31일) 오후 5시 20분쯤 전남 여수시 소경도 남서쪽 약 3킬로미터 해상에서 9.77톤급 낚시 어선과 3.84톤 어선이 충돌해 배에 타고 있던 승선원 8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충돌로 어선 기관실에서 침수가 발생했지만 현장에 도착한 해경 구조정의 신속한 배수 조치로 2차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2025-06-01
  • '의대 선호' 추세에..전국 7개 영재학교 지원자 5년 새 최저
    2026학년도 전국 7개 영재학교 지원자 수가 최근 5년 새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일 종로학원이 전국 8개 영재학교 중 경쟁률을 공개한 7개교(한국과학영재학교 제외)의 지원자 수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지원자 수는 3,827명으로 최근 5년 사이 최저치였습니다. 7개교 영재학교 지원자 수는 2022학년도 4,029명, 2023학년도 4,152명, 2024학년도 3,918명, 2025학년도 3,985명이었습니다. 영재학교는 2022학년도부터 학교 간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평균 경쟁률도 2022학년도 6
    2025-06-01
  • 반년 새 식품기업 60여 곳 가격 인상..물가 부담↑
    올해 식품·외식업계에서 제품 가격 인상 행렬이 이어져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농심과 오뚜기는 지난 3∼4월 국민의 저렴한 한끼 식사인 라면 가격부터 올렸습니다. 동서식품은 6개월 새 두 차례나 가격 인상을 단행했고 빙그레는 눈에 띄지 않게 두 달 간격으로 품목을 나눠 가격을 올렸습니다. 대상과 오리온은 과감하게 일부 품목이나 제품 가격 인상 폭을 한 번에 20% 안팎까지 키웠고 롯데웰푸드도 한 제품 가격을 1년도 안 돼 40%나 올렸습니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식품·외
    2025-06-01
  • 트럼프 무차별 관세 정책..韓 5월 수출 증가율 4개월만 마이너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 정책으로 세계 무역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한국의 5월 수출이 작년보다 1.3% 감소하면서 수출 증가율이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습니다. 주력 수출 상품 가운데는 반도체 수출액이 역대 5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자동차 수출은 30% 이상 수출액이 급감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뒷걸음쳤습니다. 특히 양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수출이 눈에 띄게 감소함에 따라 '트럼프 관세'의 영향권에 본격적으로 진입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다만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이어간
    2025-06-01
  • 트럼프 "수입 철강 관세 또 2배 인상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각)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철강 제품에 부과 중인 25%의 관세를 5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외곽의 US스틸 공장에서 진행한 연설에서 이같이 밝힌 뒤 "이는 미국 철강 산업을 더욱 탄탄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외국산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를 다시 2배 인상하겠다고 한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 25% 상황에서는 허점(loophole)이
    2025-05-31
1 2 3 4 5 6 7 8 9 10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