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전남 이례적 봄가뭄 없어

작성 : 2015-04-03 20:50:50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0:00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 Chapters
    • descriptions off, selected
    • subtitles off, selected

      【 앵커멘트 】
      요 며칠 내린 비로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전국 곳곳의 가뭄이 여전히 심각합니다.

      섬 지역을 포함해 광주.전남은 이례적으로 물걱정이 없는 봄을 맞고 있지만, 올해부터가 본격적인 가뭄주기에 들어간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오고 있어 방심은 금물이란 지적입니다.

      이준석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완도군의 한 저수지입니다

      지난해 이맘때의 저수율은 10% 미만으로 거의 바닥을 드러내 지하수로 물을 채워야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거의 만수위를 자랑합니다

      완도군 전체의 저수율도 거의 백%대입니다

      역시 해마다 가뭄을 겪었던 신안지역 저수지들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 스탠딩 : 이준석
      - "지난달 말 현재 전남지역 전체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83%로 지난해 같은기간 68%보다
      15%포인트 높습니다

      소양강이 바닥을 들어내는 등 중부와 북부지역은 심각한 가뭄을 호소하고 것과는 대조됩니다

      지난 겨울 비가 자주내려 봄만되면 제한급수와 생수통 운반급수를 해오던 전남 섬지역들이
      이례적으로 물걱정을 던 것입니다

      섬지역의 물사정도 조금씩 나아질 전망입니다

      전남지역의 해수담수화 시설은 현재 50여 곳,
      하루 3천3백여 세대분의 공급능력을 갖췄기
      때문입니다

      특히 완도군이 상수도 관을 교체하면서 새는
      수돗물 비율을 14%정도 낮추는 등 관로교체 사업도 물걱정을 더는데 한 몫하고 있습니다

      모내기 등 농업용수도 현재로선 풍족합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을 분석했을 때
      올해부터가 38년짜리 가뭄주기와 124년짜리
      가뭄 주기가 겹친다는 전문가 견해가 있어
      방심은 금물입니다

      ▶ 인터뷰: 변희룡 / 부경대 환경대기학과 교수
      - "(조선왕조실록등을) 찾아보니까 38년 주기가 있더라구요 올해는 38년주기의 정점에 해당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내년이 정점인데 올해 이미 터졌습니다"

      전라남도는 본격적인 영농기가 다가오는 만큼 풍수해 대책과 함께 가뭄대책도 함께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KBC이준석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

      1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