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ㆍ전남 9월 무역수지 '불황형 흑자'
    9월달 광주와 전남의 수출이 2019년 같은 달보다 1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본부세관이 발표한 9월 광주·전남 지역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 준 35억 8,800만 달러, 수입은 10.9% 감소한 25억 400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10억 8,4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무역수지 흑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수출 감소보다 수입 감소가 더 큰 '불황형 흑자'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020-10-16
  • 광주ㆍ전남 학교 75% 스프링클러 설치 안 돼
    광주·전남지역 학교 10곳 중 8곳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광주·전남 지역 유치원과 특수학교, 초·중·고 1183곳 중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학교는 24.9%에 불과해, 전국 평균 설치율 33%보다 현저히 낮았습니다. 강 의원은 교내 화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용도와 특수성을 고려한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하고 별도의 안전관리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2020-10-14
  • 교사 임용시험 평균 경쟁률..광주↑, 전남↓
    광주의 교사 임용시험 평균 경쟁률이 2019년과 비교해 높아진 반면, 전남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도 교육청에 따르면 2021학년도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원서 접수 결과, 광주는 평균 경쟁률이 9.3대 1, 전남은 2.8대 1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분야별로 보면 유치원 교사의 경쟁률이 가장 높았는데, 광주지역은 교사 19명 선발에 304명이 몰렸고, 전남지역에선 교사 69명 선발에 607명이 지원했습니다.
    2020-10-13
  • 나주 열병합발전소 광주광역시-나주시 갈등 확산
    나주 열병합발전소를 둘러싸고 광주시와 나주시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는 12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 2004년 허가를 내준 나주시가 2,700억 원의 대규모 예산이 들어간 열병합발전소의 운영을 반대하는 것은 적절치 못한 행동이라면서 광주 쓰레기는 광주에서 처리하라는 나주시의 요구는 사실관계를 왜곡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나주시는 지난 8일 광주시의 이기적인 쓰레기 정책과 난방공사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현 상황을 불러왔다면서 광주 쓰레기는 광주에서 처리하라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열
    2020-10-12
  • 광주ㆍ전남 기간제 교사 담임 비율 증가
    광주·전남 지역 기간제 교사의 담임 비율이 해마다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광주의 전체 담임교사 가운데 기간제 교사 비율은 10.1%에서 15.6%로, 전남은 4.9%에서 10.6로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는 9.1%에서 12.5%로 증가해 광주는 전국 평균보다 기간제 교사의 담임 비율이 높았습니다.
    2020-10-11
  • 무연고 사망자 중 노인 고독사 42.8%
    노인 혼자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는 노인 고독사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김원이 의원은 보건복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발생한 무연고 사망자는 9,734명으로 이 가운데 65세 이상 혼자 사는 노인은 4,170명으로 42.8%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지난해 3월 고독사예방법이 통과됐음에도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며 특히, 코로나19 사각지대에 놓인 홀몸노인에 대한 안전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2020-10-10
  • 10/9(금) 8뉴스 타이틀 + 주요뉴스
    1.(이상 기후에 코로나까지..농가 '이중고') 올 여름 기후 변화로 농산물 작황이 나쁜데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까지 감소하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과수농작물 재해보험을 받기가 쉽지 않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2.(목포서 노부부 코로나19 확진) 목포에 사는 70대 부부가 잇따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지난 추석 연휴 가족과 지인들을 만났다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3.(광주 아파트 분양 '뚝'..재개발 물량 급감) 올해 광주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지난해의 물량의
    2020-10-09
  • 10/9(목) 8 뉴스 타이틀 + 주요 뉴스
    1.("설명자료도 거부"..군공항 이전 갈등 확대) 광주 군공항 이전과 관련해 국방부와 광주시가 공동 제작한 설명자료가 전남 22개 시·군에 전달됐지만 무안, 해남, 고흥 등 유력 후보지 3곳은 이전을 반대한다며 수령을 거부하고 반송했습니다. 2.(이번 주말까지 고비..확산세 추이 지켜봐야) 전국적인 이동이 이뤄진 추석 연휴 이후 우려됐던 코로나19 확산 세는 아직까지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다. 방역당국은 이번 주말까지를 고비로 보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3.(부채 9조 농어촌공사, 나주에 아파트 137채
    2020-10-08
  • 늘어나는 국고보조금 비중..광주 45.9%
    광주시의 전체 사업 중 국가보조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4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의원이 국고사업과 지자체의 매칭펀드 지방비를 분석한 결과 광주시 본청 사업의 경우, 국고 보조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광주 45.9%에 달하고, 이에 따라 매칭되는 지자체 사업의 비중이 39.7%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로부터 국고보조금을 많이 받으면 이에 맞춰 지방비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어서 국비 대 지방비 분담 비율이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습니다.
    2020-10-08
  • 1년 새 2배 뛴 '金배추'..신선식품 물가 '급등'
    9월달 광주 지역 배춧값이 1년 전에 비해 2배까지 치솟는 등 신선식품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광주 지역 배춧값은 1년 전보다 101.9%, 무는 90.6%가 오르는 등 신선식품지수가 22.8% 상승했습니다. 전남 역시 토마토가 59.7%, 배추가 52.3% 급등하며 신선식품지수가 2019년 9월보다 20.8%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교통과 교육 등의 소비자물가지수는 모두 2019년에 비해 하락했습니다.
    2020-10-06
  • 지난 3년 광주 전남 노년층 교통사고 사망·부상자 1만 4천명
    지난 3년 동안 광주·전남지역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숨지거나 다친 65세 이상 노년층이 만 4,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서 지난 2017년부터 3년 동안 광주에선 교통사고로 117명이 사망하고, 3,600여 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전남에서는 543명이 숨지고, 9,700여 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교통사고 사망자 중 65세 이상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해에는 45%에 달했습니다.
    2020-10-04
  • 광주ㆍ전남 치매안심센터 인력 태부족
    광주와 전남지역 치매안심센터 27곳 중 26곳은 인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의 치매안심센터 5곳의 기준 정원은 132명이지만 104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전남의 경우 적정 근무인력 499명 중 334명만 채용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치매노인 등록률은 광주가 49.1%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고, 전남은 74.9%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습니다.
    2020-10-04
  • 9/30(수) 8뉴스 타이틀 + 주요뉴스
    1.(오전 한때 정체..귀성 차량 소폭 줄어) 추석 연휴 첫날, 고속도로가 오전 한때 정체를 빚는 등 귀성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추석 때보다 이동 차량이 10% 정도 줄어든 가운데 도심 거리는 한산했습니다. 2.(어제 광주 확진 3ㆍ전남 사망 1..오늘 '0') 어제 하루 광주에서 일주일 만에 3명의 코로나19 지역감염 확진자가 나오고 전남에서는 70대 여성이 숨졌습니다. 연휴 첫 날인 오늘은 다행이 추가 확진자가 없었습니다. 3.(AIㆍ에너지 등 신산업..청년일자리 기
    2020-09-30
  • 9/30(수) 모닝 타이틀 + 주요뉴스
    1.(추석 연휴 첫날 귀성길..서울~광주 5시 50분) 추석연휴 첫날인 오늘 아침에도 귀성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침 7시 요금소 출발 기준으로 서울에서 광주까지는 5시간 50분, 서서울에서 목포까지는 5시간 10분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2.("그래도 명절인데..” 임시주택서 맞은 추석) 지난달 엄청난 폭우로 집을 잃은 구례 수재민들은 컨테이너 임시주택에서 추석을 보내게 됐는데 온 가족이 모이는 차례는 고사하고 하루 세끼 식사를 걱정하는 처지에 놓여 있습니다. 3. (수시 경쟁률 하락.. 학과 쏠림
    2020-09-30
  • 9/29(화) 8 뉴스 타이틀 + 주요 뉴스
    1.(귀성길 정체 시작.. 서울~광주 5시간)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두고 역과 터미널에는 고향을 찾는 귀성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귀성이 시작된 가운데 승용차로 서울에서 광주까지 5시간이 걸리고 있습니다. 2.("그래도 명절인데..” 임시주택서 맞은 추석) 지난달 엄청난 폭우로 집을 잃은 구례 수재민들은 컨테이너 임시주택에서 추석을 보내게 됐는데 온 가족이 모이는 차례는 고사하고 하루 세끼 식사를 걱정하는 처지에 놓여 있습니다. 3. (수시 경쟁률 하락.. 학과 쏠림‘뚜렷’) 최근 2년간 수험생 수가
    2020-09-29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