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흥군, 청년층 고용률 48.7%로 도내 '최고'
    전남 22개 시군 중에서 청년층 고용률이 높은 곳은 장흥군과 신안군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하반기 시군별 취업자 현황에 따르면,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청년층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장흥군으로 48.7%의 고용률을 보였습니다. 다음은 신안군 46.8%, 해남군 41.5%, 완도군 40.9% 순입니다.
    2016-07-26
  • 전남지역 청년 고용률 1위 장흥, 2위 신안
    전남지역에서 청년층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장흥군으로 조사됐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하반기(10월) 전남 시군별 취업자 현황을 보면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장흥군으로 48.7%였습니다. 다음은 신안 46.8%, 해남 41.5%, 완도 40.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층 고용률이 30~40%대인 곳은 여수 등 9개 시군입니다. 나머지 8개 시군은 30 %를 밑돌았습니다. 55세 이상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곡성군으로 74.1%였으며 신안 73%, 고흥 71.5
    2016-07-26
  • 여수 웅천공원 해수욕장 수상레저 금지구역 지정
    여수해양경비안전서는 "여수시 웅천동 친수공원 해수욕장 해상 일부를 수상레저활동 금지구역으로 지정·공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수상레저활동 금지구역으로 새롭게 지정된 웅천친수공원 해수욕장은 이용객이 지난 2014년 2만6천여 명, 2015년 3만8천여 명 등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무료 해양레저 체험활동과 각종 수상레저기구 대회가 열리는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큰 곳입니다. 이번에 지정한 금지구역은 웅천친수공원 해수욕장 수영경계선 기준 바깥쪽 10m 이내 해상입니다. 이곳에서는 해수욕장을 닫을 때까지 모든
    2016-07-15
  • '장마전선' 광주·전남 호우특보…가거도 213mm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 전남 서남해안 지역에 호우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흑산도와 홍도에 호우경보, 진도와 신안, 영암, 완도, 해남, 강진 등 6개 지역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거문도와 초도, 여수에는 강풍과 호우 예비특보가 내려졌습니다. 오전 10시 현재 강수량은 가거도 213mm를 최고로 진도 서거차도 72.5mm, 강진 46.5, 해남 34.2, 광주는 14.5mm입니다. 광주와 전남 내륙지역엔 오늘밤과 내일 새벽까지 20~70mm, 전남 서남해안에는 50~100mm, 많은 곳은
    2016-07-12
  • 아파트 초기분양률 광주 반토막, 전남 상승
    아파트 분양 후 3-6개월 내에 계약이 이뤄지는 초기분양률이 광주는 절반이나 급감한 반면 전남은 상승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올해 1분기 초기분양률을 조사한 결과 전국 초기분양률은 78.6%를 기록한 가운데 광주는 46.1% 포인트가 떨어진 46.3%의 초기분양률을 보였고, 전남은 14.1% 포인트가 상승한 91.1%를 기록했습니다. 연구원은 청약 경쟁률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지만, 공급 과잉과 저성장으로 실제 분양 계약률은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2016-05-23
  • [LTE]유권자 선택만 남았다
    【 앵커멘트 】 치열했던 선거운동도 오늘밤 자정으로 끝으로 막을 내리고, 유권자들의 선택만 남게 됩니다. 그 어느 때보다 경쟁이 뜨거웠던 만큼 광주와 전남 시도민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는데요, 광주 충장로에 나가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백지훈 기자! 【 기자 】 네. 이제 20대 총선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약 3시간 반 정도 밖에 안 남았습니다. 오늘밤 자정이면 후보자들은 숨가쁘게 뛰어온 2주간의 공식 선거운동을 뒤로 하고, 유권자의 선택을 기다리게 됩니다. (CAMERA pa
    2016-04-12
  • 전남 가임여성 20만 명..20년간 10만 명 감소
    전남지역에서 임신 가능한 '가임여성'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라남도의 분석 결과 전남의 '가임여성'은 전체 인구 190여만 명의 11%인 20만 명으로 20년 전과 비교해 10만 명이 줄었습니다. 가임여성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지난 95년 2만 8천 명에서 지난해 만 5천여 명으로 20년 만에 46%가 감소했습니다.
    2016-04-05
  • [뉴스룸]올해 신규 암환자 2만 명넘어
    【 앵커멘트 】 오늘이 아홉 번째 맞은 암 예방의 날인데요, 최근 10년간 광주전남에서 암환자가 40% 이상 급증한 가운데, 올 한 해만 2만 명의 신규 암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암 환자가 늘고 있지만, 조기발견 덕분에 생존율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뉴스룸에서 임소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지난 2004년 광주*전남 암환자는 만 2천여 명, 2013년에는 만 7천여 명으로 10년 만에 40% 넘게 급증했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2016-03-21
  • 전남 수돗물 1/4은 땅속, 누수율 '심각'(모닝)
    전남지역 수돗물의 4분 1 가량이 공급되지 못하고 땅속에 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의 2014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전남의 평균 누수율은 광주의 두 배인 26.1%로 전국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고 누수량도 5만 5천 톤으로 돈으로 환산하면 650억 원이 낭비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군별로는 고흥이 65.3%, 완도 49.4%, 신안 46.3% 등으로 섬 지역의 누수율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노후관로 교체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2016-03-10
  • '귀어' 바람..희망지 전남이 '으뜸'
    【 앵커멘트 】 최근 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어촌으로 돌아가려는 귀어민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수산업 생산량 전국 1위인 전남이 가장 인기 있는 귀어 희망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서울방송본부 신익환 기잡니다. 【 기자 】 서울에서 중소기업에 다니는 37살 최승현 씨는 최근 귀어를 결심했습니다. 팍팍한 도시의 삶을 떠나, 어촌에서의 제2의 인생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최승현 / 귀어 희망자 - "장기적으로 어업도 하면서 제가 낚시 배를 운영해서 나중에 낚시도 하고 그런 걸 좀
    2016-02-19
  • 전남도, 곶감 피해 농가 지원 (모닝)
    전남도가 고온 다습한 기후로 피해를 본 곶감 농가에 대한 지원에 나섭니다. 전남도는 고온다습한 이상기후로 장성 등 도내 5개 시*군 173개 농가의 곶감에서 곰팡이가 피거나 물러지는 피해가 발생함에따라 건조기와 제습기 700대를 지원하고, 도비와 시*군비 등 5억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전남의 곶감 피해 규모는 생산 계획량의 46%에 이르는 천 600톤에 이르고 있습니다.
    2016-01-04
  • 전남 곶감 1,660톤 습해...건조장비 등 지원키로
    올 겨울 잦은 비로 전남 곶감의 한 해 생산량의 절반 가까운 1,660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남도는 곶감이 건조되지 않거나 곰팡이가 피어 생산 계획량 3,600톤 가운데 46%인 1,660톤이 습해를 입었고, 금액으로는 1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이에따라 전남도는 소규모 영세 농가에 건조장비를 지원하고, 산림사업종합자금을 피해 농가에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2016-01-02
  • R)주민자치위 '일부계층 독식'..주민자치 취지 무색
    【 앵커멘트 】 풀뿌리 지방자치의 근간이 되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특정 계층의 위원들이 수년 째 연임을 하면서, 다양한 주민들의 목소리 보다는 단체장과 정치인의 입장을 대변하는 기구로 전락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형길 기잡니다. 【 기자 】 광주시 한 동의 주민자치위원회 구성 상황입니다. CG1 자영업자가 전체 21명 가운데 15명을 차지하고 있고, 8년 이상 자치위원을 맡아 온 사람이 70%를 넘습니다./
    2015-10-23
  • 현대삼호중, '최첨단 LNG선' 3척 동시 명명(모닝)
    현대삼호중공업이 최첨단 설계 구조의 LNG선 3척의 동시 명명식을 가졌습니다. 그리스 선주사로부터 수주한 이들 선박은 길이 290m, 폭 46.4m 규모로 경유와 가스를 번갈아 사용해 연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중 연료전기 추진방식과 화물창 단열재를 개선했습니다.
    2015-10-23
  • R)전남 CCTV 절반 '무용지물'
    【 앵커멘트 】 범죄예방을 위해 전남지역 곳곳에 1만 4천여 대의 CCTV가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사람 얼굴을 식별하지 못할 정도로 화질이 좋지 않고 CCTV를 관리하는 관제센터가 없어 절반은 무용지물이나 다름 없습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 기자 】 지난 1월 목포 북항의 해안가 초소 근무 중 실족해 숨진 육군 일병을 군과 경찰은 군무이탈로 판단해 일주일 넘게 헛다리를 짚었습니다. 항구 인근에 있는 CCTV의 판독이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인근 편의
    2015-10-11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