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백지훈 기자이슈人: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2020-06-14
  • 36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김재현 기자이슈人: 양향자 광주 서구을 국회의원
    2020-06-07
  • 35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최은정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슈人: 김회재 여수을 국회의원
    2020-05-31
  • 34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오승용 킹핀정책리서치 대표이슈人: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2020-05-18
  • 33회
    이슈in: 김영록 전라남도지사이슈人: 이개호 국회의원
    2020-05-03
  • 32회
    이슈in: 최용국 한국과총 광주전남지역회장 , 범희승 전남대병원 핵의학과 교수이슈人: 조오섭 광주 북구갑 당선인
    2020-04-27
  • 31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오승용 킹핀정책리서치 대표이슈人: 이형석 광주 북구을 당선인
    2020-04-20
  • 29회
    ‘총선 D-31’ 토론장은백 변호사오승용 킹핀정책리서치 대표
    2020-03-15
  • 환공포증은 사실 공포증이 아니다? 그럼 왜 생기는 걸까?
    반복되는 문양에서 거북함을 느끼는 증상 ‘환공포증’ 전 세계 16%의 인구가 가지고 있다는데..도대체 환공포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해서 아직 많은 연구가 이뤄진 건 아닌데. 가장 대표적인 가설은 환공포증이 ‘인간 진화의 산물’이라는 거야. 독이 있는 생물은 화려한 무늬나 반점이 있는 경우가 많잖아? 그걸 학습해온 인간들은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무늬를 봤을 때, 두려움을 느끼고, 뇌에 ‘위험신호’를 보낸다는 거지.    환공포증의 원인으로 꼽히는 또 다른 가설도 있어.   영국 켄트 대학의 심리학 연구팀은 환공포증의
    2020-03-11
  • [핑거이슈] 환공포증은 사실 공포증이 아니다
    반복되는 문양에서 거북함을 느끼는 증상 ‘환공포증’전 세계 16%의 인구가 가지고 있다는데..도대체 환공포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해서 아직 많은 연구가 이뤄진 건 아닌데.가장 대표적인 가설은 환공포증이 ‘인간 진화의 산물’이라는 거야. 독이 있는 생물은 화려한 무늬나 반점이 있는 경우가 많잖아?그걸 학습해온 인간들은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무늬를 봤을 때,두려움을 느끼고, 뇌에 ‘위험신호’를 보낸다는 거지.  환공포증의 원인으로 꼽히는 또 다른 가설도 있어. 영국 켄트 대학의 심리학 연구팀은 환공포증의 원인이‘기생충과 전염
    2020-03-11
  • 28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김재현 기자이슈人: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2020-03-08
  • 마스크 지원에 이송치료까지 코로나19로 빛난 '달빛동맹'
    최근 코로나19 대구지역 감염자가 광주로 와서 치료를 받고 있어 병상이 부족해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를 도와주는건데 유독 광주가 대구를 더 도와주는 이유는 뭘까?   이유는 바로 달빛동맹 때문이야!  대구의 옛 명칭인 ‘달구벌’의 ‘달’! 광주의 순우리말 ‘빛고을’의 ‘빛’! 이렇게 한 글자씩 따서 만든 ‘달빛동맹’은 영호남의 협력과 화합을 위해 2013년에 만들어졌어.   두 지역에서 교류협력을 한 사업은  현재까지 34건이야   또 대구에선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담은 518버스가, 광주에선 2.28 학생운동의 의
    2020-03-06
  • 27회
    이슈in: 장은백 변호사, 오승용 킹핀리서치대표이슈人: 박유환 코로나19 광주시의사회 의료지원단장
    2020-03-02
  • 26회
    '코로나19 비상' 긴급토론이슈in : 장은백 변호사         박유환 광주시의사회 부회장         김재현 기자
    2020-02-23
  • 12/27(금) 모닝730 이어서+조간브리핑
    이어서 12월 27일 금요일 아침신문 살펴보겠습니다. 1. 먼저 조선일봅니다. 연말연시 회사 전체가 통째로 휴가를 가는 '서구식 집중 휴가제'가 국내 기업들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기삽니다. 이런 변화는 4-5년 전, 제조 대기업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요. 연말이면 해외 고객사들이 대부분 휴무에 들어가는 만큼, 공장 가동 효율이 떨어져 집중 휴가제를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건설·서비스 업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워라벨 문화의 확산과 맞물린 것으로 신문은 분석했습니다. 2.
    2019-12-27

랭킹뉴스